식별자 (Identifier)
클래스 이름, 변수 이름, 메서드(함수) 이름 등을 지정할 때 개발자가 직접 입력시킨 이름을 식별자라고 합니다.
- 첫 문자는 영문자여야 합니다. _, $ 와 같은 기호는 첫 문자로 가능하지만 권장하지 않습니다.
- 자바는 대소문자를 엄격히 구별합니다.
- 공백 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자바언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식별자인 예약어는 이름으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.
데이터 형 (Date Type)
자바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.
기본 데이터 형 (PDT: Primitive Data Type) | 논리형 - boolean 문자형 - char 정수형 - byte, short, int, long 실수형 - float, double |
참조 데이터 형 (RDT: Reference Data Type) | 8개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는 모든 데이터 형 |
기본형의 종류를 자세히 보겠습니다.
(1) 논리형 - boolean
boolean은 반드시 소문자 true, false 값만 가질 수 있습니다.
boolean b1=true;
boolean b2=false;
(2) 문자형 - char
char는 하나의 문자를 가지며,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저장합니다. 따라서 문자를 이용한 연산이 가능합니다. 자바에서는 하나의 문자를 작은따옴표로 묶어야 합니다.
char c_num='a'; //'a'는 아스키 코드값 97로 저장됩니다
int c2_num= c_num+1; // 97+1
문자열은 기본형이 아닌 참조형입니다. 문자열은 연산 불가능합니다. String이라고 하며 큰따옴표로 묶어야 합니다.
String str="JAVA";
(3) 정수형 - byte, short, int, long
기재된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가 커집니다. int가 기본형이며, long형을 표현할 때는 L 또는 l을 정수값 뒤에 붙여 기본형과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.
byte byte_num=12;
int int_num=1000;
long long_num=10000000000000000L;
(4) 실수형 - float, double
실수형은 소수점을 가진 숫자를 의미합니다. double이 기본형이므로 float의 경우 F 또는 f를 실수값 뒤에 붙여 구분해 주어야 합니다.
float f_num=3.14F
double d_num=10.0;
이상으로 자바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데이터 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자바 연산자 (Operator) (0) | 2022.05.17 |
---|---|
[JAVA] 데이터 형 변환 (묵시적, 명시적) (0) | 2022.05.17 |
[JAVA] 자바 변수(variable), 변수 선언과 초기화 (0) | 2022.05.17 |
[JAVA] 자바 출력 함수 (println, print, printf) (0) | 2022.05.16 |
[JAVA] 자바 개발 환경 구축 (0) | 2022.05.16 |
댓글